'경제용어'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

[경제금융용어 700선 공부 #002] 경상수지란?(feat.국제지수, 장단점) 안녕하세요 자본주의를 살고 있는 우리는 과연 경제에 관해 얼마나 알고 있으며, 이해하고 있는가? "돈의 속성"의 저자 이승호 회장님이 책 중에 언급하셨던 "경제금융용어 700선"에서 우리가 모르거나 들어는 봤지만 정확한 뜻을 모르는 단어에 대해 하나하나 공부를 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경제금융용어 700선에 등장하며, 각종 뉴스와 매체에 자주 등장하는 경상수지라는 단어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를 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002 경상수지 경상 수지(經常收支)라는 단어는 경상과 수지라는 두 단어의 합성어입니다. - 경상은 경상 거래(經常去來)를 뜻하며 일상적으로 하는 거래라는 뜻 - 수지는 수입(輸入)과 지출(支出)의 줄임말 종합해보자면, 거래에서 발생하는 수입과 지출이라는 뜻입니다... 더보기
도대체 대출금리는 어떻게 정해지는 거야? 연일 뉴스를 비롯한 다양한 매체에서 금리가 오르고 있다고 합니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연일 상승하고 빅스텝을 한다느니, 한국도 미 기준금리를 따라서 상승하고 있다고하고 소비자 물가는 매달 5%씩 상승한다고 하고... 대략적으로는 무슨 말인지 알겠지만, 정확하게 이자가 무슨 방법으로 정해지는지가 궁금했습니다. 그리고 미국의 금리를 왜 우리가 따라가야하는지도 궁금했구요. 오늘은 내가 궁금해 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내용을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가장 현실적으로 우리가 신경쓰는 금리부터 보면, ** 대출금리 도대체 대출 금리는 어떤 기준으로 나오는 것일까요? 먼저 대출금리는 우리에겐 딱하고 숫자로 표현되지만, 그게 정해지기까지는 여러 금리와 기준들을의 총합인 지표입니다. 기준 금리 + 가산 금리 + 가감조정금리 이렇..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