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용어 700선'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경제금융용어 700선

[경제금융용어 700선 공부 #003] 인적자본이란?(feat.국제지수, 장단점) 안녕하세요 오늘은 경제금융용어 700선에서 세번째 인적자본에 대해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인적자본이란 ? 사람을 하나의 자본으로 본 개념입니다.사람이 가진 지식과 기술, 경험, 창의성 등등 경제적 가치를 하나의 자원으로 보는 개념인데요! 이는 오랜 경제학점 관점이였던 물적 자본론에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그럼 물적 자본은 무엇일까요? 물적 자본은 인적자본과 반대로 천연 자원과 기계 등 재산을 형성 것이야 말고 자원이다!라는 개념이였어요! 그런데 현대를 사는 우리야 인적자본, 인적자원이라는 단어가 익숙하지만 예전 경제학 경영학의 개념이 세워지는 중이였던 예전에는 되게 생소한 개념이였겠죠? 그럼 물적 자본과 비교되는 인적자본의 특징은 무엇이 있을까요? 1. 교육이나 직업 훈련 등을 통해 가치나 생산성을 높일 수.. 더보기
[경제금융용어 700선 공부 #002] 경상수지란?(feat.국제지수, 장단점) 안녕하세요 자본주의를 살고 있는 우리는 과연 경제에 관해 얼마나 알고 있으며, 이해하고 있는가? "돈의 속성"의 저자 이승호 회장님이 책 중에 언급하셨던 "경제금융용어 700선"에서 우리가 모르거나 들어는 봤지만 정확한 뜻을 모르는 단어에 대해 하나하나 공부를 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경제금융용어 700선에 등장하며, 각종 뉴스와 매체에 자주 등장하는 경상수지라는 단어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를 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002 경상수지 경상 수지(經常收支)라는 단어는 경상과 수지라는 두 단어의 합성어입니다. - 경상은 경상 거래(經常去來)를 뜻하며 일상적으로 하는 거래라는 뜻 - 수지는 수입(輸入)과 지출(支出)의 줄임말 종합해보자면, 거래에서 발생하는 수입과 지출이라는 뜻입니다... 더보기